클라우드/AWS

AWS 기본 인프라 생성

됵이 2022. 10. 25. 12:10

 

VPC(Virtuar Private Cloud) 의 약자로 개인의 가상 클라우드 즉 건물을 세우기 위한 "땅"

이라고 생각 하면 된다. 

 

VPC 안에서 할 수 있는 일들

  • SUBNET 구성
  • EC2 실행
  • 보안 설정
  • VPC Pearing : VPC 간의 연결
  • IP 대역 설정 가능

VPC 를 설정 하기 전 AWS의 큰 틀을 확인 해야한다. 

  • Resion > VPC > Availability Zone > Subnet

 

인프라 구축1

구축 순서 : VPC 생성 -> Subnet 생성 -> Internet GateWay 생성 -> Routing table 구성 

 

VPC 생성

aws.amazon.com 에 접속하여 

설정 값은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IP의 경우는 2개의 subnet으로 나눌 예정이기 때문에 /25로 지정한다.

 

Subnet 생성

서브넷 생성 버튼 클릭
VPC 선택

위에서 생성한 VPC를 선택 해준다. 

HOST 수는 64개씩 분배할 예정

Internet GateWay 생성

이름 설정 후 생성버튼 클릭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화면 상단에 초록색 바탕의 알림창이 나오는데 여기서 VPC에 연결 클릭

생성한 VPC를 선택하고 연결을 클릭 해주면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생성하고 VPC에 연결 해준것이 된다. 

라우팅 테이블 생성

설명을 위해 2개의 라우팅 테이블을 만들어 준다.

public에는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설정해 외부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private에는 외부 통신이 불가능한 구조로 만든다. 

설정하고자 하는 라우팅 테이블을 선택 -> 라우팅 탭 -> 라우팅 편집

라우팅 추가 -> 0.0.0.0/0(모든 네트워크) -> 인터넷 게이트웨이

※인터넷 게이트웨이를 선택하면 방금 생성한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나온다. 

이후 변경 사항 저장 

 

비슷한 방법으로 이번에는 해당 라우팅 테이블에 subnet을 추가 하도록 한다.

라우팅 테이블 선택 -> 서브넷 연결 탭 -> 서브넷 연결 편집

어떤 subnet을 인터넷 게이트웨이가 있는 테이블에 배치 할 것인지 체크하여 연결 저장 버튼 클릭

 

이렇게 설정 하면 T-A SUBNET의 경우는 외부 통신이 가능한 SUBNET이고 T-B의 경우는 내부통신만 가능한 구조가 되는 것이다.